반응형
코드 작성 시 자신만의 방법으로 표기를 한다.
예) 클래스는 첫 문자를 대문자, 변수명은 알아 볼 수 있게...
하지만 같이 일을 하는 입장에선 서로 법칙을 정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하면 훨씬 일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.
대표적인 표기법을 명시하겠다. ( 4가지)
●카멜 표기법(Camel Case)
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되, 맨 앞에 오는 글자는 소문자로 표기하는 것이다.
표기한 모습이 낙타의 등과 같다고 하여 카멜 표기법이라고 부른다.
int totalNumber;
●파스칼 표기법(Pascal Case)
카멜표기법과 거의 흡사하지만 맨 앞에 오는 글자도 대문자로 표기하는 것이다.
int TotalNumber;
●헝가리안 표기법(Hungarian Notation)
접두어에 자료형을 알아볼수 있게끔 표기하는 것이다. 요새는 잘 사용하지 않는거 같다.
예) 문자열은 변수명 앞에 str을 붙인다.
String strName;
●스네이크 표기법(Snake Case)
단어 사이에 언더바를 넣어서 표기하는 것이다.
int total_number;
추가로 괄호의 위치도 다양한다.
int main()
{
return ;
}
int main(){
return;
}
int main()
{
return;
}
반응형
'안드로이드 > 개발자 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안드로이드 다른 모양 버튼(custom button) 만들기 (0) | 2020.03.15 |
---|---|
안드로이드 SharedPreferences 값 저장하고, 불러오기. (3) | 2020.03.12 |
안드로이드 xmlns:tools , tools: (0) | 2020.03.12 |
라이브러리 최신 버전 찾기 팁 (0) | 2020.03.09 |
ButterKnife 라이브러리 (@BindView, @OnClick) (0) | 2020.03.09 |
댓글